베드로전서 개관
주제: 구원의 확신을 통한 소망의 삶
1, 저자: 베드로(1:1)
2. 기록 연대: A.D64년경
①서신서의 기록 장소가 바벨론(5:13)으로 서술되어 있음
바벨론은 세계를 지배하는 나라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당시 로마제국을 가리킨다.
(계17:5에서는 바벨론을 로마로 상징하고 있음 )
저자인 베드로가 최후의 사역지인 로마에 도착한 시기, 곧 A.D 63년 말경부터 64년 초가 된다.
②역사적 정황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때
박해에 대비하여 인내를 가지고 끝까지 믿음의 삶을 잘 살도록 격려하기 위해 기록되었다고 볼 때 네로 박해가 시작되기 직전이나 바로 직후인 A.D64년경에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종합해 보면 기록 시기는 A.D 64년경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3. 수신자: 소아시아 지방에 흩어져 사는 유대인들(1:1)
소아시아 지방 ->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 비두기아에 있는 그리스도인들
4. 기록 장소: 로마
①본 서신의 기록 연대가 A.D 64년 경이며 베드로가 이때 로마를 방문했다는 사실은 바벨론이 로마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부합한다.
②요한계시록 17:5, 18:2에서 바벨론을 로마로 상징하고 있듯이 벧전5:13절에 나오는 바벨론의 경우 로마로 볼수 있다라는 견해
5. 기록 목적
신자들이 삶 가운데 직면하는 박해와 고난을 극복할 수 있도록 격력하고 온갖 어려움을 겪는 신자들을 위로하기 위해 기록되었다(1:6-7, 3:13-17, 4:12-19, 5:9)
①공식적인 박해
네로 황제의 박해
로마 정부가 실시한 최초의 공식적인 박해로 A.D64년에 로마 화재의 책임을 그리스도인들에게 전가시키고 그들을 박해하기 시작함
②개인적인 고난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세상으로부터 당하는 고난(요15:19)
그리스도인이 공통으로 받는 고난으로써 그리스도인이기 때문에 오해를 받고 불의한 대우를 받는 현상
6. 본서의 특징
①격려의 서신 또는 소망의 서신, 베드로는 본 서신을 통해 환난 중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오는 산 소망을 제시해 줌으로써 고난과 시험에 약해지지 않고 담대히 대처할 수 있는 믿음을 가질 것을 촉구함과 동시에 구원의 소망을 잃지 않도록 격려하였다.
②교리적 성격이 강하다
삼위일체론(1:2-3, 12) / 창조론(4:19) / 그리스도론(1:20, 3:18) / 속죄론(2:24, 3:18-19)
종말론(1:13, 15:1, 10)
③구약성경과의 연관성(구약의 역사와 예언이 강조되어 있음) 1:10-12, 3:5, 6, 20
특히 구약의 진리들이 기독론적으로 해석되었다.
예) 사40:8 ‘주의 말씀’ -> 1:25 ‘예수그리스도의 복음’
사28:16 ‘보배롭고 요긴한 모퉁이 돌’과 사53장 ‘고난 받는 종’을 2:22-25절 인용함
모두 예수그리스도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함(2:4)
④ 고난16번, 영광16번 / 그리스도인의 고난과 영광에 초점
7. 내용 분해
① 산 소망을 주신 하나님을 찬양(1:1-12)
② 산 소망을 합당한 생활을 하라는 권면(1:13-2:10)
③ 산 소망이 나타나야 되는 생활영역(2:11-3:12)
④ 고난과 시련에 대한 권면(3:13-22)
⑤ 고난의 영적 의미(4:1-19)
⑥ 교회 지도자들에 대한 권면(5:1-11)
⑦ 문안과 축도(5:12-14)
1단락 | 벧전 1:1 ~ 2:12 | 성도의 구원과 성화 |
2단락 | 벧전 2:13 ~ 3:12 | 성도의 생활과 의무 |
3단락 | 벧전 3:13 ~ 5:14 | 성도의 고난과 경건한 삶 |
8. 축복 및 적용
고난과 소망에 관한 내용을 가지고 묵상하고 공부하길 원한다.
예수님처럼 고난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당당히 이겨내고 극복하는 삶이 되길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