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과 함께/2016 마가복음

마가복음 (2015년 11월 30일)

하늘청년 2015. 12. 2. 16:34

  마가복음 개관.hwp

 

마가복음 개관

성경공부: 2015. 11. 30() pm 8

참석자: 이지명, 이혜숙, 박종희, 황두성, 조남신, 이가은

 

저자: 마가

마가는 성경에 총 8회 나오는데 사도행전에서 4, 서신서에서 4번 나온다.

 

마가는 "마가라 하는 요한"으로 불리우는데 "마가"라는 이름은 별명으로 헬라의 이름이며, 본명은 "요한"으로 히브리 이름이다.

 

마가는 레위인이었다. 레위인 바나바의 생질(조카)이기 때문이다(4:36,12:5)

 

마가의 어머니는 마리아로 현관이 있는 넓은 다락방이 있는 집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예수님의 마지막 유월절 만찬이 베풀어진 장소이기도 하다. 또한 그리스도의 승천 후 120명의 제자들이 10일간 기도하며 오순절날 성령의 충만함을 받은 곳이기도 하다. 그 후에도 자주 제자들이 모인 곳이다.

 

마가는 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에 바나바와 함께 동참했으나(13:5), 버가에서 도중에 포기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전도여행을 포기했다(13:13). 사도행전 15:38-39절에서는 2차 전도여행을 떠나면서 마가의 동행 문제로 거절하는 바울과 찬성하는 바나바 사이에 심한 다툼이 있었다. 결국 바울과 바나바가 헤어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마가는 그 후에 바울과 화해하여 바울의 동역자가 되었다(4:10, 1:24.). 바울은 순교하기 직전에 자신의 일에 "유익한 마가"를 초청하여 다시 만나게 된다(딤후 4:11)

 

마가는 베드로에게 "내 아들 마가"라고 불리웠다(벧전 5:13)

자기를 그리스도께 인도해 준 사도 베드로와 아주 가까운 관계였다.

 

(8) 사도 바울이 그의 생애의 마지막 부분에 마가를 자기에게 유익한 동역자라고 칭하면서 자기를 보러 오라고 마가를 초청하는 것을 보아, 복음 사역에 복귀하게 되었다.

 

 

기록연대: 대체로 베드로의 순교(65) 이후, 예루살렘 멸망(70) 이전으로 본다.

 

수신자: 로마에 있는 이방인들, 기독교인들

마가복음은 로마에 있는 이방인 기독교인들을 위하여 기록되었다.

 

마가복음은 이방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구약에 대한 인용이 적고, 유대인의 관습(7:3-4), 절기(14:12), 특수한 용어들(9:43, 15:42)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당시의 팔레스틴에서 자주 쓰는 아람어를 헬라어로 뜻을 풀어주고 있다. 즉 보아너게(3:17; 우뢰의 아들), 달리다굼(5:41; 소녀야 네게 말하노니 일어나라), 고르반(7:11; 하나님께 드림이 되었다), 에바다(7:34; 열리라), 아바(14:36; 아빠),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15:34;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니이까) 등이다.

 

마가가 의도한 것 중의 한 가지는 하나님의 아들이 동족의 거부에 의해 낮아지심의 극치인 십자가에 달려 일시적인 패배를 경험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부활을 통해서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권위를 회복한다는 점을 이방인들에게 보여주려는 것도 있다. 마가가 구약을 잘 알지 못하는 이방인들을 수신자로 삼은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온 세계에 증거하려는 것이었음을 잘 알 수 있다.

 

중심구절: 10:45 -> 종으로 오신 예수님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본 서신의 특징

(1) 마가는 예수님을 종으로 소개하고 있다.

(2) 마가는 예수님의 말씀보다 사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즉시라는 단어를 40번 이상 사용하면서 행동을 통해 섬기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강조해 주고 있다.

헬라어 "유뒤스"라는 단어가 41회나 사용되고 있지만, 마태복음에서는 2, 누가복음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내용은 짧지만 말씀보다 행동을 강조하면서 간략한 복음에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내용을 보면 마태복음은 1068, 누가복음은 1147절인데, 마가복음 661절이다.

 

(3) 예수님께서 행하신 기적 가운데 (기록으로 남아 있는 35개의 기적 가운데 절반이 넘는) 18개의 기적이

마가복음에 기록되어 있다.

 

(4) 마가복음은 가정 먼저 기록된 가장 짧은 복음서이다.

 

(5) 마가복음은 예수님의 생애와 가르침에 대해 사도 베드로가 회고한 것은 근거로 마가가 대신 기록해 놓은

것으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

 

(6) 구약의 인용구와 비유는 가장 적지만 기적은 가장 많이 기록하고 있다. 구약의 인용구는 마태복음 128, 누가복음 90100회에 반하여 마가복음은 63회 뿐이다.

예수님의 비유는 마태복음에는 14개의 비유가 있는데 반하여 마가복음에는 4개 밖에 없다(씨뿌리는 비유;4:3-9,13-20, 씨 자라는 비유;4:26-29, 겨자씨 비유;4:30-32, 악한 종 비유;12:1-9). 또한 마가복음에는 20회의 기적을 기록하고 있다. 1장부터 11장까지는 매장마다 한번 이상의 기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 2개의 이적과 2개의 비유는 마가복음에서만 볼 수 있다.

 

(7)

 

 

 

(8)

 

 

동기와 목적

마가복음이 기록될 당시 로마 교회는 로마의 생명의 위협으로부터 박해와 순교의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 많은 기독교 신자들이 신앙의 갈등을 겪게 되고 어려움은 날로 가중되었다. 이러한 박해 상황에 처해 있던 기독교 지도자들 중에 예루살렘 출신의 마가가 있었다. 마가는 두려움에 떨고 있는 성도들이 믿음의 시련을 위한 무장이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힘을 주고 예수님에 대한 든든한 믿음의 토대를 견고히 하기 위해 마가복음을 기록하였다.

 

마가는 하나님의 계획하심에 따라 주께서 배반당하시고 고난을 받으시고 죽으셨던 사건을 다룸으로써 그들을 향한 예수님의 헌신에 즉, 예수님께서 먼저 성도들을 위해 그 모든 고난 당하는 모범을 당하셨음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므로 마가는 예수님께서 겪으신 모욕과 고난을 모든 그리스도인들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많은 고난과 핍박과 십자가 앞에서도 당당했다.

마가는 고난과 죽음으로만 예수님을 설명하지 않고 부활을 통하여 고난과 모욕과 죽음은 아무 것도 아님을 선포하고 있다. 예수님께서는 부활 후에 자신의 흩어진 제자들을 갈릴리에서 다시 모으리라고 말씀하셨다(14:28, 16:7). 이것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예수님은 지금도 살아계시며 그들에게 여전히 신실하시다는 것을 충분히 보여주고 남았을 것이다.

 

마가는 고난당하시는 그리스도(메시야)와 종된 주님은 교회를 통하여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교회는 주님께 충성해야 한다는 사상이 마가의 증언 배후에 짙게 깔려 있다.

 

마가복음에 대한 또 한 가지의 기록동기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스데반이 순교한 후, 예루살렘의 그리스도인들이 사방에 흩어졌다(8:1). 그러자 하나님의 뜻과 섭리로 복음이 사마리아에 퍼져 나갔고, 가이사랴에서는 로마의 백부장 고넬료가 주를 믿고 세례를 받아 그리스도인이 되었다(10:47,48). 그 뿐 아니라 사도행전의 역사는 기독교가 수리아, 소아시아, 마게도냐, 헬라, 그리고 이태리까지 미치고 있음을 전하고 있다. 따라서 로마인들도 주를 믿고 구원받은 이들이 상당수 있었음이 분명하다. 이로 인하여 로마인들을 위하여 특별히 마련된 복음서 하나가 필요하게 되었다.

 

 

7. 내용구분

예수님의 준비(1:1-13) - 세례요한과 그리스도의 준비

예수님의 사역(1:14-9:50) - 갈리리 지방의 사역과 반대운동

예수님의 입성(10:1-52) - 예수님의 예루살렘으로 입성

예수님의 사역(11:1-15:47) - 예루살렘에서의 고난주간의 사역

예수님의 승리(16:1-20) -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

 

1. 전도의 준비(1:1-13)

 

2. 갈릴리 전도 전반기

(1:14-5)

1) 전도의 개시(1:14-20)

2) 이적의 개시(1:21-45)

3) 반대의 개시(2:1-3:12)

4) 열두 제자의 선정

(3:13-35)

5) 하나님의 나라 비유

(4:1-34)

6) 여러 가지 이적들

(4:35-5)

3. 갈릴리 전도 후반기

(6-9)

 

1) 갈릴리 전도의 전환기

(6:1-7:23)

2) 갈릴리를 떠나심

(7:24-37)

3) 갈릴리로 돌아오심

(8:1-26)

4) 다시 갈릴리를 떠나심(8:27-9:50)

4. 베레아 전도 (10)

 

5. 예루살렘 전도

(11-13)

1) 예루살렘 입성

(11:1-26)

2) 유대 교권자와의 충돌

(11:27-12:44)

3) 종말적 예언(13)

6. 수난과 부활 (14-16)

1) 수난의 준비(14:1-42)

2) 수난(14:43-15:47)

3) 부활(16:1-18)

4) 승천(16:19,20)

 

8. 축복 및 적용

장별로 공부해 나갈 때마다 종으로 오신 예수님, 섬김으로 오신 예수님 위주로 묵상하며 성경공부를 준비해 나가야겠다.

마가복음 개관.hwp
0.02MB

'말씀과 함께 > 2016 마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9장)  (0) 2016.07.13
2016년 마가복음 6장 성경공부  (0) 2016.05.26
마가복음 3장~5장  (0) 2016.01.26
마가복음 2장  (0) 2016.01.26
마가복음 1장  (0) 2016.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