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과 함께/2021디도서, 빌레몬서, 골로새서

2021디도서 예비공부

하늘청년 2021. 1. 21. 14:37

2021 디도서 예비공부.hwp
0.02MB

 

디도서 예비공부

 

본 서신은 바울이 그레데 섬에 남아 목회하고 있는 젊은 동역자 디도에게 보낸 편지로서 디모데전.후서와 함께 목회서신으로 불린다.

 

저자: 바울이 그레데(Crete)에서 목회하고 있던 디도에게 보낸 편지(1, 4)

 

 

2. 기록연대: 언제 어디서 기록되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본 서신의 문체와 내용이 디모데후서보다는 디모데전서와 유사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보아 디모데후서(AD66)보다 앞서고 디모데전서(AD64) 보다는 후에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서신은 AD66년 초에 디모데전서가 기록된 장소인 마게도냐에 기록된 것으로

추측이 된다.

-> 로마감옥(AD67-68) 이전으로 추정 AD66년 초

 

3. 수신자: 디도라는 한 개인으로 한정(1:4)

디도는 헬라 사람으로서 할례를 받지 않았지만, 예루살렘 총회(AD 50년경) 때 바울과 바나바와 함께 참석했던 사실을 보면 그 이전부터 신앙생활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1-5)

또한 디도는 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15:36-18:23) 이후 그와 계속 동행 하였으며, 고린도에 파송되기도 하고(고후7:6, 8:6) 그레데 교회를 돌보기도 하였다(1:5)

 

이와같이 오랫동안 바울과 동역한 디도는 바울에게 참아들(1:4), 동무, 동역자(고후8:23)

라고 불릴 정도로 바울의 많은 사랑과 신임을 받은 신실한 주의 종이었다.

 

*2:2 ->십사 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나니

*고후7:6 ->그러나 낙심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가 옴으로 우리를 위로하셨으니

 

*디모데의 경우 할례를 받음 -> 유대인의 부모, 할례를 받지 않으면 사역하는데 어려움

*디도의 경우 할례를 받지 않음 -> 이방인, 할례를 받지 않아도 사역하는데 어려움이 없음

 

 

4. 주제: 성도의 선한 삶(6회 강조) / 1:16, 2:7, 2:14, 3:1, 3:8, 3:14

교회 조직과 질서를 위한 목회지침(3:8) / 지도자 선발과 목회지침(1:5)

 

 

5. 중심구절: 2:14

그가 우리를 대신하여 자신을 주심은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속량하시고 우리를 깨끗하게 하사 선한 일을 열심히 하는 자기 백성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

 

 

6. 중심단어: 선한 일(6), 복음, 바른교훈, 선발과 지침, 교회생활 지침

-> 성도에게 있어 선한 일은 은혜로 주신 구원이 실제 삶의 현장에서 경건하고 의로운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7. 특징

본 서에 언급된 장로의 자격에 관한 규정(1:6-8)이나 교회의 여러 그룹에 대하여 취해야 할 태도(2:1-10) 등은 디모데전서의 내용과 상당한 유사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바울의 다른 서신에 자주 언급되고 있는 '십자가''십자가에 못박는다'라는 말은 본 서에 한 번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전1:18 고후13:4 6:12 12:16 2:8 1:20). 이것은 곧 본 서가 신앙의 윤리적이며 실천적인 면인 선한 생활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음을 의미해 주고 있는 것이다.

(1:6 2:7 3:1,8,14) / 말씀과 실천이 균형을 이루어야 함을 보여주는 서신서.

 

한편 본 서에서 보다 중요한 사실은 바로 기독교 신앙의 중대한 교리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선택(1:1), 영생(1:2 3:7), 리스도의 메시야성과 신성(1:3,4 2:13), 영감(2:5),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의 보편성(2:11), 그리스도의 대속과 재림(2:13,14),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3:4,5), 성령의 사역과 칭의 그리고 상속권(3:5,7) 등이다. 따라서 본 서에는 성도에게 맡겨진 복음의 교리와 경건한 생활의 중요성, 즉 은혜(grace)와 성도의 선행(good works)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리와 실천편으로 나뉘어짐, 바울의 박식함을 증거하는 책(1:12)

->목회 서신서임에도 불구하고 중대한 핵심교리들을 다루고 있다.

 

 

 

8. 기록 목적(동기)

교회 내의 질서 확립(이단에 대한 경계 / 3:9-10)

(기록 당시 그레데 교회는 상당히 혼란스럽고 믿음의 선한 행위가 없었음)

- 선한 행실을 강조하고 교회 내의 여러 부류들이 행할 적절한 행동 지침에 대한 교훈

- 어렵게 목회하고 있는 디도에게 격려하고 권면하기 위함 / 그의 권위를 강화시켜 줌

- 유대주의자들에 대한 영향(할례 실시등 형식이 구원의 조건)

- 헬라 문화와 영향(나태와 방종)

- 로마 1차 투옥 후 목회지침을 주고자

 

 

9. 문장구조

1: 장로(와 감독)의 자격과 거짓교사들에 대한 경고

2: 성도의 바른생활에 관한 교훈(양육)

3: 성도의 선한행실에 대한 교훈(대인관계)

 

 

10. 축복 및 적용

5절을 통해서 바울이 그레데섬에 디도만 남겨둔 것을 통해

내가 없어도 사역을 맡겨둘만큼 믿음직하고 신실한 동역자가 있다는 사실에 은혜, 동기부여

말씀에 대한 지식과 함께 실천적인 행위가 따라야 한다.

그렇지 못할 때 1:16 말씀처럼 입으로는 하나님을 시인하나 행위로는 부인하며 선한 일을 버리는 자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적용: 공부를 하면서 은혜를 누리도록 하고 구체적인 적용을 기록하며 순종하겠다.

 

지도자의 목회철학과 방법, 본의 중요성

올바른 영적 지도자상 정립,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감

내가 먼저 올바로 서 있어야 바르게 지도할 수 있다.

 

 

11. 참고자료

http://blog.daum.net/amen7367/16762525 / 호크마 주석

 

 

2021117() 조남신